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리플 인 코리아

by 루트인포 2025. 1. 20.
반응형

 

리플(Ripple)은 비트코인의 합의 과정을 개선한 디지털 통화 시스템 작업을 시작으로 Ripple Labs에서 출시한 암호화폐로, 2012년 초기 버전에서 현재의 XRP 암호화폐가 2013년에 등장했다.

등장 이후 불안정한 가격변동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결국은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이은 가장 대중적인 암호화폐로, 한국에서의 24시간 거래대금이 코스닥 하루 거래대금인 6조원과 비슷할 정도로 활발하게 거래가 되는 상황이 되었다. 

한국에서 전 세계 리플 거래량의 12%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으로 보아 한국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암호화폐인 것은 분명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을 앞두고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리플 투자에 힘을 불어놓고 있지만,

유독 한국에서 거래량이 많은 이유를 살펴본다.

먼저 접근성이 매우 좋다. 한국의 주요 암호화폐 플랫폼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앱들을 통해 일반인들도 쉽게 리플을 포함한 암호화폐 거래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킬 정도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직접적인 거래로 이어지게 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리플은 국제 송금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한국의 해외 유학생들의 송금이나, 국제 무역에서의 수요가 크다는 배경으로, 리플의 실용적 가치에 대한 기대가 크다. 

여기에 한국 정부의 암호화폐 정책에 대한 규제가 미뤄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계속 유지가 되고 있다.

한국은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을 많이 받는데, 여러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암호화폐 정도가 빠르게 유통되면서 만들어내는 군중심리가 

암호화폐 거래량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리플의 10년간의 가격변화와 주요 사건들을 살펴보면,

2014년 리플 초기 버전이 출시되었고 몇몇 소규모 은행들과의 파트너십이 체결되었다.


2015년 시리즈 A 투자 라운드를 통해 약 3200만 달러를 유치한다. 이 투자 라운드는 Santander InnoVentures, CME Group, Seagate Technology 등 유명 기업들이 참여했다.

이는 전통적인 금융 기관들이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리플의 기술과 비전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 


2016년 뉴욕주 금융 서비스로부터 비트 라이선스를 획득한다. 이는 가상화폐 관련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선스로

뉴욕주에서 활동하는 가상화폐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엄격한 심사 과정과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걸리지만,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고, 합법적 지위를 얻었다는 의미가 있다 .


2017년 XRP의 가격이 급등하며 연말에 역사적 최고가를 기록한다. 또한 100개 이상의 금융 기관과 파트너십을 체결한다.


2018년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하락으로 XRP의 가격도 하락한다.


2019년 MoneyGram(글로벌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기반의 금융 회사)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RippleNet 사용기관이 300개 이상으로 증가한다.


2020년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리플 Labs와 경영진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다.


2021년 일부 거래소에서 XRP의 상장 폐지가 이뤄지지만 글로벌 사용은 증가한다.


2022년 SEC 소송 관련 중요 법적 승리 일부를 획득한다. 기관 고객을 위한 유동성 허브(기존의 국제 송금 서비스에서 더 나아가 종합적인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제공자로 발전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기관 투자자들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암호화폐 거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 시장 사이의 가교 구실의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를 출시한다.


2023년 SEC 소송에서 부분적 승리 판결을 획득하며 국제 송금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한다.


2024년 기관 채택 확대 및 새로운 사용 사례 개발을 지속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