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트코인36

비트코인에 대한 대륙별 인식 - 아시아 와 중동 비트코인, 블록체인, 혹은 다양한 이름을 걸고 유통되는 많은 암호화폐로 인해 사용 여부를 떠나 그 존재성은 지구상 여러 나라에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뉴스매체 등에서 많은 기업과 정치인들이 비트코인의 미래에 대해 여러 전망을 내놓으면서, 기존보다 더 많은 관심과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대선으로 인해 이러한 관심이 많아졌는데, 다른 지역의 상황을 간단히 살펴본다.  한국에서는 이미 높은 관심과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고 투자 자산으로 여기는 사람도 많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른 규제나 요구사항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정책적으로 금지되고 있지는 않다. 가까운 일본을 보자면, 한국보다 더 활발하게 암호화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고 결제 수단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금융청(F.. 2024. 7. 28.
유튜브와 비트코인 2005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브루노에 위치한 정보통신 회사는 이용자가 영상을 업로드, 공유하고 이를 시청할 수 있게 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구글이 인수하여 2009년까지 적자를 기록하다, 2010년부터 흑자로 돌아서고, 미디어 서비스의 탄생 이후 변하지 않던 콘텐츠 공급 방식과 제작자의 개념을 부수고 확장한다. 바로 유튜브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탄생한 유튜브 서비스는 누구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구호 아래 전문적으로 교육받지 않은 창작자들에게도 그들의 창작물을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하여 시청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즉각적인 상호 교류가 가능하다는 인터넷의 장점은 콘텐츠의 재생산과 함께 많은 참여자들을 끌어 들었고, 기존 미디어에서 보지 못한 다양한 주제의 콘텐츠가 탄생하게 된다. 이는.. 2024. 7. 28.
1929 세계 대공황 1929년에서 1930년대 후반까지, 전 세계적으로 들이닥친 경제공황이라 불리는 경제침체는 특정 몇 가지 원인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마도 이 경제공황은 전 세계가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 첫 번째 신호가 될 것이다.1900년대 초반 산업혁명과 강국들의 식민지 사업 확대, 1920년대 미국의 라디오, 영화와 신문발행이 가져온 미디어 혁명은 어떠한 불안감 없이 전 세계의 강국들에게 미래에 대한 자신감과 기대감을 끝없이 갖게 해주었다. 1776년 애덤 스미스의 “이기적 행동이 사회적 이익을 실현한다”. 라는 문장으로 대변되는 보이지 않는 손이라 불리는 자유 시장 경제의 개념은 근대사의 시작을 알렸고, 인류사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이렇게 형성된 경제발전은 19.. 2024. 7. 22.
선물과 현물의 차이 현재 비트코인 현물 ETF 상품이 출시되었고, 앞으로도 많은 암호화폐들의 EFT 상품 출시가 예정되고 있다. 여기서 많이 언급되는 상품 형태는 “현물"이다. 앞서 미국의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비트코인의 투기성 위험성 때문에 ETF 상품을 승인하면서도, 그 대상을 “현물"로만 한정 지었다. 기초자산을 바탕으로 한 많은 상품은 “현물"과 “선물"을 동시에 선보이고 있는데, 왜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한 상품은 “현물"로만 한정 지었을까?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 둘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 현물은 “직거래"와 “실시간 거래"로 표현할 수 있다. 매장에 가서 현금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동시에 상품의 소유권이 구매자에게 넘어간다. 여기에는 어떤 부수적인 제안이 적용되지 않고 자산거래가 즉시 이뤄진다.선물은 여.. 2024.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