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블록체인, 혹은 다양한 이름을 걸고 유통되는 많은 암호화폐로 인해 사용 여부를 떠나 그 존재성은 지구상 여러 나라에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뉴스매체 등에서 많은 기업과 정치인들이 비트코인의 미래에 대해 여러 전망을 내놓으면서, 기존보다 더 많은 관심과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대선으로 인해 이러한 관심이 많아졌는데, 다른 지역의 상황을 간단히 살펴본다.
한국에서는 이미 높은 관심과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고 투자 자산으로 여기는 사람도 많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른 규제나 요구사항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정책적으로 금지되고 있지는 않다.
가까운 일본을 보자면, 한국보다 더 활발하게 암호화폐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고 결제 수단으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금융청(FSA)의 규제와 엄격한 허가장을 받아야 하지만 그만큼 신뢰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에 있다고 보인다.
중국은 이미 2021년에 비트코인의 사용 및 채굴 모두 금지하였고 따라서 암호화폐에 대한 개방성이 떨어지는 국가이다. 하지만 이는 중국식 암호화폐 개발과 유통을 위한 조치일 가능성이 큰데, 블록체인 기술 자체에 대해서는 매우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홍콩은 아시아의 주요 금융 중심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암호화폐 거래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개방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시아의 새로운 금융도시로 발전하고 있는 싱가포르는 암호화폐는 물론 블록체인과 관계된 많은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싱가포르 통화청은 이러한 상황을 주시하며 허용과 규제를 통한 금융 혁신 허브로서의 중심 역할을 가져가고 있다.
인도는 한때 중앙은행이 암호화폐 사용을 금지하려고 했지만, 법원에서 이를 취소하는 판결을 함으로써 소비자와 기업들이 암호화폐를 결제는 물론 투자 수단으로 사용하게 시작했다. 이에 정부는 암호화폐 거래에 대해서 소득세와 같은 세금부과를 논의하고 있다.
아시아는 국가별로 암호화폐에 대한 인식이 매우 다양하지만, 적극적인 대응을 하는 아시아 국가로 인해 암호화폐는 물론 블록체인의 기술 발전과 상용화를 위한 중요 시장 역할을 하고 있다.
중동지역에서 아랍에미리트(UAE)는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에 매우 긍정적이다. 두바이와 아부다비 등 암호화폐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을 디지털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주요 촉매제 역할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암호화폐에 대한 법적 명확성을 제공하면서 암호화폐 기업들이 합법적인 기업으로 자리 잡고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암호화폐는 공식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암호화폐 사용에 신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에는 많은 연구와 개발을 지원하고 있고 아랍에미리트 중앙은행과 블록체인 기반의 프로젝트도 진행했을 정도로 큰 관심을 보인다.
이스라엘은 현재 많은 암호화폐 스타트업이 기반을 두고 블록체인과 관련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이스라엘 증권 당국(ISA)은 규제에 대한 명확성을 높이는 작업을 하고 있다.
터키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적 불안 등으로 인해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가 높다. 많은 터키인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방어책으로 비트코인을 선호하고 있지만, 터키 정부는 암호화폐 결제를 금지하는 등 자국 통화를 지키기 위한 규제 방안을 만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투자자산으로서의 거래는 유지되고 있으며 자체 디지털 화폐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란의 상황은 경제 및 금융 제재로 인해 암호화폐를 이용한 국제 거래를 사실상 수용하고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암호화폐에 대한 채굴도 허용하고 있으며,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은 오직 국제 거래에만 국한되어 있다. 자국 내의 사용은 금지하고 있다.
바레인은 블록체인에 대해서 개방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중앙은행(CBB)은 블록체인과 관련된 샌드박스를 운영하며 금융 서비스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대체로 중동지역도 국가별 암호화폐에 대한 접근은 서로 다르지만,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 실험과 연구에 대해서는 많은 투자를 하는 상황이다.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XRP)에 대해서 (0) | 2024.08.11 |
---|---|
비트코인에 대한 대륙별 인식 - 아프리카와 남미 (0) | 2024.07.31 |
유튜브와 비트코인 (0) | 2024.07.28 |
1929 세계 대공황 (0) | 2024.07.22 |
선물과 현물의 차이 (0) | 2024.07.08 |